티스토리 뷰
등어깨 : (1)등과 어깨를 아울러 이르는 말.
부수깨 : (1)‘부엌’의 방언
방두깨 : (1)‘방망이’의 방언
버깨 : (1)‘부엌’의 방언 (2)‘아궁이’의 방언
어트깨 : (1)‘어찌’의 방언
옥시깨 : (1)‘옥수수’의 방언
토깨 : (1)‘실톳’의 방언 (2)‘토끼’의 방언
꺼먹깨 : (1)‘주근깨’의 방언
홍도깨 : (1)‘도깨비’의 방언
다듬이마깨 : (1)‘다듬잇방망이’의 방언
외어깨 : (1)한쪽 어깨.
쏘깨 : (1)‘솜’의 방언
도로깨 : (1)‘도리깨’의 방언
똥깨 : (1)‘큰창자’를 속되게 이르는 말. ⇒규범 표기는 ‘똥집’이다. (2)‘똥집’의 북한어.
내깨 : (1)‘내’의 방언
보리깨 : (1)‘바리뚜껑’의 방언 (2)‘보리밭’의 방언 (3)‘도리깨’의 방언
검덩깨 : (1)‘검은깨’의 방언
부디깨 : (1)‘부지깽이’의 방언
볶은 참깨 : (1)프라이팬에 넣고 열을 가해 저으면서 익힌 참깨.
깔징깨 : (1)‘정거장’의 방언
반주깨 : (1)‘반짇고리’의 방언 (2)‘소꿉질’의 방언
굼나무깨 : (1)‘나막신’의 방언
몽두깨 : (1)‘막대기’의 방언 (2)‘몽둥이’의 방언
기기저깨 : (1)‘그끄저께’의 방언
다듬잇마깨 : (1)‘다듬잇방망이’의 방언
물라깨 : (1)‘살쩍밀이’의 방언
깨무깨 : (1)‘깜부기’의 방언
도랑깨 : (1)‘도리깨’의 방언
훌깨 : (1)‘벼훑이’의 방언
큰똥따깨 : (1)자치기를 할 때 쓰는 긴 막대기
무릅깨 : (1)이불 밑에 덧덮는 얇고 작은 이불. 겹으로 된 것도 있고 솜을 얇게 둔 것도 있다. ⇒규범 표기는 ‘처네’이다.
동결 어깨 : (1)어깨에 심한 통증과 경직 증상을 동반한 유착 관절낭염.
다루깨 : (1)무엇을 담는 물건의 하나. 대를 재료로 하여, 바닥이 넓고 울이 깊게 만들어, 짚으로 엮은 끈을 양쪽에 달아 어깨에 멜 수 있게 되어 있다. 전라남도 영광에서 쓴다.
민다리깨 : (1)‘다래끼’의 방언
검은깨 : (1)빛깔이 검은 참깨. (2)얼굴의 군데군데에 생기는 잘고 검은 점. ⇒규범 표기는 ‘주근깨’이다.
접저깨 : (1)‘족집게’의 방언
껑깨 : (1)‘빈털터리’의 방언
브러시 어깨 : (1)브러시의 선단이 서로 직각인 두 개 평면에 의해 잘려진 부분.
마깨 : (1)‘방망이’의 방언 (2)‘점다랑어’의 방언
메밀나깨 : (1)메밀가루를 체에 치고 난 뒤에 남은 찌꺼기.
탕깨 : (1)‘탕기’의 방언
위팔 어깨 : (1)위팔에서 어깨 쪽의 관절 부위.
탁찌깨 : (1)‘턱찌끼’의 방언
가지깨 : (1)사발의 뚜껑 (2)줄기에 가지를 치는 참깨 종류. 참깨의 초형에는 줄기에 분지가 없는 외대깨와 분지가 있는 가지깨가 있다.
부서깨 : (1)‘아궁이’의 방언
태깨 : (1)‘태가’의 방언 (2)‘대가’의 방언
쌍도리깨 : (1)두 사람이 마주 서서 치는 도리깨.
복지깨 : (1)주발의 뚜껑 (2)‘보시기’의 방언
둘깨 : (1)‘들깨’의 방언
맨어깨 : (1)살이 드러난 어깨.
가매떠깨 : (1)‘솥뚜껑’의 방언
산들깨 : (1)꿀풀과의 한해살이풀. 높이는 20~30cm이며, 잎은 마주나고 달걀 모양 또는 타원형이다. 7~8월에 엷은 보라색 꽃이 총상(總狀) 화서로 피고 열매는 수과(瘦果)로 둥근 모양이다. 잎과 줄기는 약용한다. 우리나라 중부 이남에 분포한다.
댐 어깨 : (1)계안과 접합되어 댐을 지지하는 부분. 계안의 암반까지 들어가도록 시공함으로써 물의 누수를 막아 이 부분의 침식을 방지한다.
괴깨 : (1)‘괴끼’의 방언
손홀깨 : (1)‘벼훑이’의 방언
나무깨 : (1)‘나막신’의 방언
좀들깨 : (1)‘쥐깨풀’의 북한어.
빵깨 : (1)‘소꿉질’의 방언
돌깨 : (1)‘도리깨’의 방언
장깨 : (1)‘장끼’의 방언
보꼬깨 : (1)지붕의 안쪽. 지붕 안쪽의 구조물을 가리키기도 하고 지붕 밑과 반자 사이의 빈 공간에서 바라본 반자를 가리키기도 한다. ⇒규범 표기는 ‘보꾹’이다.
홍디깨 : (1)‘홍두깨’의 방언
망깨 : (1)‘달구’의 방언
글홀깨 : (1)‘그네’의 방언
볼시깨 : (1)‘벌써’의 방언
드르깨 : (1)‘들깨’의 방언
더깨 : (1)‘덮개’의 방언 (2)‘뚜껑’의 방언
솥동깨 : (1)‘솥뚜껑’의 방언
꼬지깨 : (1)‘고들빼기’의 방언
무드깨 : (1)‘맥주병’의 방언
까깨 : (1)‘가위’의 방언
따깨 : (1)‘뚜껑’의 방언
다담이마깨 : (1)‘다듬잇방망이’의 방언
때때방아깨 : (1)‘방아깨비’의 방언
짱깨 : (1)‘자장면’을 속되게 이르는 말.
다깨 : (1)사발의 뚜껑
대홀깨 : (1)‘벼훑이’의 방언
베여깨 : (1)‘아궁이’의 방언
뜰깨 : (1)‘들깨’의 방언
죽은깨 : (1)얼굴의 군데군데에 생기는 잘고 검은 점. ⇒규범 표기는 ‘주근깨’이다.
꽁깨 : (1)‘민들레’의 방언
사깨 : (1)‘모임’의 방언
목도리깨 : (1)‘옹헤야’에서 소리를 메기는 사람이 사용하는 좀 굵은 도리깨
보호 길 어깨 : (1)차도 바깥쪽에 붙은 도로의 한 부분으로 도로포장 구조와 길 자체를 보호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.
거문깨 : (1)‘주근깨’의 방언
당지깨 : (1)‘고리짝’의 방언
소둥깨 : (1)‘소댕’의 방언
홀깨 : (1)‘벼훑이’의 방언
째깨 : (1)‘벼훑이’의 방언
노반어깨 : (1)노반의 양쪽 가에 길 모양으로 된 곳.
훑이깨 : (1)‘그네’의 방언
허친슨 흑색 주근깨 : (1)전암성 병터의 하나인 악성 흑색점에서 유래하는 악성 피부 종양. 임상적으로는 색깔이 흑색과 갈색인 것에서부터 연분홍색인 것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며, 형태가 불규칙하고 표면은 평평하다. 이 종양은 백인에게 발생하는 악성 흑생종의 10%, 일본인에게 발생하는 악성 흑색종의 2.5%를 차지하나 한국인에게는 드물다. 상당히 오랜 기간 동안 수평 성장을 하다가 나중에 수직 성장을 하며 나이 든 사람의 얼굴 부위에 잘 발생한다.
까문깨 : (1)‘주근깨’의 방언
고깨 : (1)‘고까’의 방언
종홀깨 : (1)‘벼훑이’의 방언
쉬숫당깨 : (1)‘수숫대’의 방언
쇠도리깨 : (1)쇠로 도리깨처럼 만든 병장기(兵仗器). 포졸이 순라를 돌 때 가지고 다녔다.
찌깨 : (1)‘그네’의 방언 (2)‘벼훑이’의 방언
유리 어깨 : (1)야구에서, 던지는 힘이 약한 선수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.
으깨 : (1)‘어깨’의 방언
'한글배우기 > 끝말잇기단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뚱으로 끝나는 모든 글자의 단어> 81개 (0) | 2019.12.14 |
---|---|
삭으로 끝나는 모든 글자의 단어모음 319개 (0) | 2019.12.09 |
믄으로 끝나는 모든 글자의 단어<> 33개 (1) | 2019.11.04 |
싯으로 끝나는 모든 글자의 단어: 48개 (0) | 2019.10.26 |
녀로 끝나는 모든 글자의 단어>> 509개 (0) | 2019.10.05 |
- Total
- Today
- Yesterday
- 피파온라인생중계
- 토렌트
- 끝말잇기단어
- 끝말잇기한방
- 끝나는말
- 끝말잇기게임
- p2p사이트
- 한방단어
- 끝말잇기한방단어
- 초성
- 초성모음
- 피파온라인
- 토렌트추천
- 무료영화
- 끝말잇기이기는단어
- 무료동영상
- 끝말잇기
- 끝말잇기이기는방법
- 드라마
- 속담모음
- 피파정답
- 속담
- 동영상다운
- 시작하는말
- 초성게임
- 토렌트순위
- 피파온라인4정답
- 피파온라인4
- 신규영화
- 영화다운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